전기/시설관리

KOSHA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방식 변경 (GP법)

엔지니어관리자 2025. 9. 17. 23:06

 

 

목차

     

    1. 발전기 용량 산정의 필요성

    산업 현장에서 발전기는 정전 시 필수 부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설비입니다.
    발전기 용량을 과소 산정하면 부하 기동 시 전압강하, 발전기 과부하 등이 발생하고, 과대 산정하면 불필요한 비용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정확한 기준에 따른 발전기 용량 산정이 중요합니다.

     

     

    • 구 기준: KOSHA Guide E-84-2022 (PG법)
    • 개정 기준: KOSHA Guide B-E-5 (GP법)

    E-84-2022_비상전원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pdf
    0.26MB

     

    B-E-5-2025+비상전원의+선정+및+설치에+관한+기술지원규정.pdf
    4.21MB

     

    ☞ 기준: KOSHA Guide E-84-2022 (PG법) → 2023년 이후 **KOSHA Guide B-E-5 (GP법)**으로 개정

     

    2. KOSHA 개정: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방식, PG법에서 GP법으로 변경

    2.1 서론 – 왜 개정되었을까?

    비상발전기는 정전 등 비상상황에서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설비(비상조명, 소방펌프, 비상통신 등)를 안정적으로 구동해야 합니다.
    기존에는 PG(Peak Group) 법을 적용했으나, 과도한 설비용량 산정 문제가 있어 최근 KOSHA 지침이 GP(Group Peak) 법으로 개정되었습니다.

     

     

    2.2 기존 PG법(Power Generator Method)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은 몇 가지 기준들이 있습니다.국내에서는 국토교통부의 설계기준 KDS 31-60-20과 한국산업안전공단(KOSHA)의 E-84-2022에 의한 용량 계산입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 비

    engineer-ing.tistory.com

     

    2.3. 개정된 GP법(Generator Performance Method)

    2023년 개정된 **KOSHA Guide B-E-5 (GP법)**에서는 PG법의 한계를 보완하였습니다.
    단순 용량 산정이 아닌, 발전기 성능(Performance) 중심으로 평가하여 동시 기동, 비선형 부하, 전압강하, 고조파 영향까지 고려합니다.

    • 정의: 부하를 그룹(예: 소방, 조명, 통신 등)으로 나눈 뒤 각 그룹 내 동시사용률을 반영하여 산정 → 그룹별 피크 전력만을 합
    • 주요 변경점
      ① 모터 동시 기동 시 전압강하 고려
      ② UPS, VFD(인버터)와 같은 비선형 부하 반영
      ③ 고조파, 역률, 파형 왜곡까지 포함
      ④ 국제기준(IEC 60034, IEEE 115 등)과 정합성 강화
    • GP법 절차
      1. 필수부하 산정 (소방, 방재, 필수 공정 설비)
      2. 모터 기동조건 시뮬레이션
      3. UPS, VFD, 비선형 부하 고조파 영향 계산
      4. 발전기 전압강하 허용치 (일반: 15%, 모터: 20%) 이내 검토
      5. 최종 발전기 정격 용량 산정
    • 산정 방식 예시
      • 그룹 A (소방펌프, 스프링클러펌프) → 100 kW
      • 그룹 B (비상조명, 방송) → 50 kW
      • 그룹 C (비상환기, 계측) → 30 kW
      • 총 합계 = 180 kW

     

    2.4 PG법 vs GP법 비교표

    구분 PG법( E-84-2022) GP법( B-E-5
    기준 단순 부하 합산 + 계수 적용 부하 특성 + 발전기 성능 종합 검토
    고려 요소 필수부하, 기동전류 필수부하, 기동전류, 전압강하, 고조파, 역률
    산정 방식 모든 비상부하 최대치 단순합산 그룹별 동시사용 고려 후 합산
    장점 안전성 충분 확보 경제성+안전성 균형
    단점 비용·규모 과다 계산 절차 다소 복잡
     

    3 KOSHA 비상발전기의 용량 계산

    3.1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

     
     
     

     

     

    3.2 비상발전기 용량산정 계산 예시

     

     

     

    5. 정리

    • 발전기 용량 산정은 이제 PG법에서 GP법으로 전환되었음
    • 단순 용량이 아니라 성능 기반 검토가 필수
    • 설계 시 국제 기준, 고조파, 전압강하, 비선형 부하까지 고려해야 함
    • 경제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

     

    6. 참고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 기준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 기준을 정리했습니다. 국내 기준에는 발전기 사용, 시설 및 설치에 관한 내용만 명시되어 있고, 계산식은 명시되지 않은 기준이 있지만, 비상발전기 용량

    engineer-i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