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1

KOSHA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방식 변경 (GP법)

목차 1. 발전기 용량 산정의 필요성산업 현장에서 발전기는 정전 시 필수 부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설비입니다.발전기 용량을 과소 산정하면 부하 기동 시 전압강하, 발전기 과부하 등이 발생하고, 과대 산정하면 불필요한 비용 증가로 이어집니다.따라서 정확한 기준에 따른 발전기 용량 산정이 중요합니다. 구 기준: KOSHA Guide E-84-2022 (PG법)개정 기준: KOSHA Guide B-E-5 (GP법) ☞ 기준: KOSHA Guide E-84-2022 (PG법) → 2023년 이후 **KOSHA Guide B-E-5 (GP법)**으로 개정 2. KOSHA 개정: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방식, PG법에서 GP법으로 변경2.1 서론 – 왜 개정되었을까?비상발전기는 정전 등 비상..

전기/시설관리 2025.09.17

전기안전관리자 신규 등록 및 경력수첩 발급

전기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은 법적으로 전기안전관리자를 반드시 선임하고 등록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등록 절차, 필요 서류, 선임 기준을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관련 법규와 함께 전기안전관리자 등록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1. 전기안전관리자란? (정의와 법적 근거)근거 법규: 「전기사업법」 제73조,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의무 대상: 75kW 이상 자가용 전기설비 보유 사업장주요 업무:전기설비 점검 및 안전관리법정 점검 결과 보고전기재해 예방 관리👉 전기안전관리자는 단순히 형식적인 직책이 아니라, 법적 책임을 지는 안전관리자입니다.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전기안전관리자의 자격 및 직무전기 직무고시는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점검을 위해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

전기/시설관리 2025.09.09

스프링클러설비의 제어반 및 설치기준

스프링클러설비의 핵심은 물을 뿌리는 펌프가 아니라, 그 펌프를 상황에 맞춰 정확히 작동시키는 **제어반(Control Panel)**입니다. 이 제어반이 제대로 설계·구성되지 않으면, 아무리 성능 좋은 펌프도 소용이 없습니다. 오늘은 이 제어반에 대해 깊이 있게 파헤쳐보겠습니다. 목차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 행정규칙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스프링클러설비의 제어반2.10 제어반2.10.1 스프링클러설비에는 제어반을 설치하되,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으로 구분하여 설치해야 한다.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2.10.1.1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는 특..

소방/소방시설 2025.06.12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원 방식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초기에 자동으로 작동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핵심 설비입니다. 그런데 이 설비가 정작 화재 발생 시 작동하지 못한다면? 그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전원공급의 미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링클러설비에 필요한 전원 기준과 구성 방식, 법적 요구사항까지 꼼꼼히 짚어보겠습니다. 목차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 행정규칙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원2.9 전원2.9.1 스프링클러설비에는 그 특정소방대상물의 수전방식에 따라 다음의 기준에 따른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을 설치해야 한다. 다만, 가압수조방식으로서 모든 기능이 20분 이상 유효하게 지속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2.9.1.1 저압수전인..

소방 2025.06.12

스프링클러설비의 음향장치와 기동장치 (NFTC 103)

화재는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그 순간, 우리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첫 번째 방어선이 바로 스프링클러 설비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음향장치’와 ‘기동장치’**에 집중해, 이 두 구성 요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설치 시 고려할 점은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 행정규칙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스프링클러설비의 음향장치2.6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2.6.1 스프링클러설비의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2.6.1.1 습식유수검지장치 또는 건식유수검지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헤드가 개방되면 유수검지장치가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에 따라 음..

소방/소방시설 2025.05.27

[전기기사 실기 계산 12] 저압의 전압강하 및 불평형률 계산 문제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계산 문제 중 저압의 전압강하 및 불평형률 관련된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문제는 2008~2022년의 15개년 문제이며, 출제된 횟수를 특수문자 ★ 로 표현하되, 최대 3번까지 적용합니다  목차 기본수식3상 전압강하 단상 2선식 회로에서의 전압강하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의 설비 불평형률   계산 문제★☆☆정격 전류가 320[A]이고, 역률 0.85인 3상 유도 전동기가 있다. 다음 제시한 자료에 의하여 전압 강하를 구하시오.  ★☆☆그림과 같은 단상 2선식 회로에서 공급점 A의 전압이 220[V]이고, A-B 사이의 1선마다의 저항이 0.02[Ω], B-C 사이의 1선마다의 저항이 0.04[Ω]이라 하면, 40[A]를 소비하는 B점의 전압 VB와 20[A]를 소..

[전기기사 실기 계산 11] 배전선로의 전압강하, 전압강하율, 전압변동률, 전력 손실, 전력 손실률 계산 문제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계산 문제 중 배전선로의 전압강하, 전압강하율, 전압변동률, 전력손실, 전력손실률 관련된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문제는 2008~2022년의 15개년 문제이며, 출제된 횟수를 특수문자 ★ 로 표현하되, 최대 3번까지 적용합니다  목차 기본수식3상 선로 전압강하 전압강하율수전단 전압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선로에서 발생한 전압강하의 백분율 전압변동률부하 측(수전단 측)의 전압은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부하의 접속 상태에 따른 부하측 전압변동의 백분율 선로의 전력 손실     계산 문제★★★3상 배전 선로의 말단에 늦은 역률 80[%]인 평형 3상의 집중 부하가 있다. 변전소 인출구의 전압이 6600[V]인 경우 부하의 단자 전압을 6000[V] 이하로 떨어뜨리지 않..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직•급수배관 및 분기배관 설치 기준과 배관 기울기 (NFTC 103)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중요한 소방 설비입니다. 이를 위해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의 설치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수직배관, 급수배관 및 분기배관의 설치 기준과 배관 기울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직 배관, 급수 배관, 분기 배관 설치 기준과 배관 기울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목차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 행정규칙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수직배수배관 설치2.5.14 수직배수배관의 구경은 50 ㎜ 이상으로 해야 한다. 다만, 수직배관의 구경이 50 ㎜ 미만인 경우에는 수직 배관과 동일한 구경으로 할 수 있다.수직 배수배관의 설치 수직 배수배관은 스프링클러..

소방/소방시설 2025.01.11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에 행거 설치 기준 (NFTC 103)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에 행거 설치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 단계에서 진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배관을 지지하는 행거(hanger)의 설치 기준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에 행거를 설치하는 기준을 설명하겠습니다. 목차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 행정규칙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배관에 헹거 설치기준2.5.13 배관에 설치되는 행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2.5.13.1 가지배관에는 헤드의 설치지점 사이마다 1개 이상의 행거를 설치하되..

소방/소방시설 2025.01.11

건식, 습식 유수검지장치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NFTC 103)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방 시스템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동해야 합니다. 습식유수검지장치(Wet-type Flow Switch)와 건식유수검지장치(Dry-type Flow Switch)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화재 발생 시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작동을 유도하고,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부압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특정 환경에서 효율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중요한 설비로, 특수한 조건에 맞춰 설계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이들 장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목차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 행정규칙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     2.5.12 ..

소방/소방시설 202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