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을 위한 핵심적인 안전 장치입니다. 하지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일정한 수압과 물 공급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가 '가압송수장치(압력수조)'입니다. 압력수조는 물을 압력 상태로 저장하여, 스프링클러설비에 필요한 수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가압송수장치(압력수조)의 설치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2.3.1 압력수조의 압력은 다음의 식 (2.2.3.1)에 따라 산출한 수치 이상 유지되도록 할 것
P = p₁ + p₂ + 0.1 … (2.2.3.1)
여기에서
P: 필요한 압력(㎫)
p₁: 낙차의 환산수두압(㎫)
p₂: 배관의 마찰손실수두압(㎫)
2.2.3.2 압력수조에는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맨홀·압력계·안전장치 및 압력저하 방지를 위한 자동식 공기압 축기를 설치할 것
압력수조 압력수조를 이용하는 방식인 경우로 스프링클러헤드 선단에서의 최소 방수압력 이 0.1㎫ 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한 기준이다. 압력수조는 소화용수를 저장한 탱크 내부에 압축공기를 채워, 가압 송수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압력수조가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도로 제작이 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높고 시간경과에 따라 압력수조 압력변화에 따른 방사압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고가수조와 마찬가지로, 압축공기 가 정상적으로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동력이 없어도 충분한 가압송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저장된 물을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된 공기실의 확보가 필요하며 일본의 경우 수조의 수(물의 양)량을 압력수조 부피의 2/3 이하로 하여야 하는 것으로 규정해 공기실체적을 용기체적의 1/3 이상으로 하도록 정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이 기준을 준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압력수조는 압력계, 수위계, 배수관, 보급수관, 급기관, 안전장치, 맨홀 및 공기압력을 유지하는 자동공기압축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