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 3

케이블 굵기 선정 방법 정리 ㅣ KEC·IEC 기준, 전압강하·과전류·기동·단락

플랜트 및 수용가 설비에서 케이블 굵기(전선 단면적)는 단순히 부하전류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KEC(한국전기설비규정)와 IEC 60364에서는 다음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다음과 같이 케이블 굵기 기준은 한가지로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정상 운전시 전류, 전압강하, 기동 시 일시 전압강하, 고장 시 열적 내량이 서로 다른 상정조건을 갖기 때문입니다.실무는 보통 다음 순서로 검토를 하고 있습니다. 과전류 보호 조건 (허용전류 기준)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정상시 전압강하)전동기 기동전류에 의한 전압강하율 (일시 전압강하)단락전류에 의한 절연체 허용온도 도달시간 고려 (단락전류 열적내량) 목차 1. 과부하전류에 대한 보호과전류 보호 장치(차단기, 퓨즈)는 케이블 과전류로 손상..

전기/시설관리 2025.09.30

KOSHA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방식 변경 (GP법)

목차 1. 발전기 용량 산정의 필요성산업 현장에서 발전기는 정전 시 필수 부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설비입니다.발전기 용량을 과소 산정하면 부하 기동 시 전압강하, 발전기 과부하 등이 발생하고, 과대 산정하면 불필요한 비용 증가로 이어집니다.따라서 정확한 기준에 따른 발전기 용량 산정이 중요합니다. 구 기준: KOSHA Guide E-84-2022 (PG법)개정 기준: KOSHA Guide B-E-5 (GP법) ☞ 기준: KOSHA Guide E-84-2022 (PG법) → 2023년 이후 **KOSHA Guide B-E-5 (GP법)**으로 개정 2. KOSHA 개정: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 방식, PG법에서 GP법으로 변경2.1 서론 – 왜 개정되었을까?비상발전기는 정전 등 비상..

전기/시설관리 2025.09.17

전기안전관리자 신규 등록 및 경력수첩 발급

전기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은 법적으로 전기안전관리자를 반드시 선임하고 등록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등록 절차, 필요 서류, 선임 기준을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관련 법규와 함께 전기안전관리자 등록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1. 전기안전관리자란? (정의와 법적 근거)근거 법규: 「전기사업법」 제73조,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의무 대상: 75kW 이상 자가용 전기설비 보유 사업장주요 업무:전기설비 점검 및 안전관리법정 점검 결과 보고전기재해 예방 관리👉 전기안전관리자는 단순히 형식적인 직책이 아니라, 법적 책임을 지는 안전관리자입니다.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전기안전관리자의 자격 및 직무전기 직무고시는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점검을 위해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

전기/시설관리 202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