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TS와 CTTS 비교에 대해 알아보자.
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사이에 설치하여, 정전시 예비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 스위치 중으로 ATS와 CCTS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1. ATS (Automatic Transfer Switch)
명칭 : 자동 전환 개폐기
절차 :
- 한전 라인과 비상발전기 라인 사이에 연결하며,
- 상용 전원 정전시 비상발전기가 자동적으로 동작하고 절체 지연 시간 동안 대기 후 비상 전원으로 자동 절체
- 비상발전기로 절체 후 비상발전 전원을 부하로 공급
- 상용 전원 정상 복구시 절체 지연 시간 동안 대기 후 상용전원으로 자동 절체, 그리고 비상발전기는 정지
- 수동으로 절체 가능 (상용전원 → 비상전원, 비상전원→ 상용전원)
ALTS (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명칭 :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용도 : 상용 전원 공급 선로의 정전 사고 시 예비 전원 선로로 자동 전환하는 개폐 장치 ※ 전기기사 실기 출제 |
1.1 ATS 제품 (비츠로이엠)
자동절체개폐기

컨트롤러 제품

전면부 외관 및 각부 명칭


후면부 외관 및 각부 명칭


<ATS 절체 동영상>
2. CTTS (Closed Transition Transfer Switch)
명칭 : 폐쇄형 절체 전환 개폐기
기능 :
- 일반적인 ATS의 개방절체(Open Transition)와는 달리 폐쇄형 절체
- 한전과 발전기 두 전원이 모두 살아 있는 경우 두 전원의 동기화를 검출하여 100ms 이내에 계통분리가 가능한 개폐장치
- 무정전으로 절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콘트롤러와 전원을 절체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 병원, 전산센터, 은행, 플랜트설비, 보안센터 등 무정전을 요구하는 주요 설비에 사용된다.
2.1 CTTS 용도
- 한전 예고 정전시 (정전 예상시간 이전 무정전 절체 가능)
- 한전 불시의 정전시 (ESS시스템+CTTS시스템을 통해 무정전시스템 구축)
- 구내 비상발전기 부하 운전시 (시운전시 무정전 절체 가능)
- 구내 특고압 설비 교체공사시 (교체 공사 전 무정전 절체 가능)
- 한국전기안전공사 정기검사시 (정기검사 전 무정전 절체 가능)
2.2 CTTS 동작 조건
상용전원과 비상발전 전원을 사용하고 있을 때, CTTS는 양전원의 동기가 맞는 시점에서 절환시키는 무정전 절체 방식이다.
동기 조건은 양 전원의 상 전압차 5% 이내, 주파수 차 0.2Hz이내, 위상 동기각 5˚이내 일 때, 순간 병렬운전 후 절체하여 무정전 절체시키는 스위치 시스템으로 발전기 및 부하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상용전원과 비상발전 전원의 중첩 절체를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의한 정밀한 동기계산을 위한 개폐기의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양 전원을 정확한 동기 상태에서 중첩을 시켜 한 전원에서 다른 전원으로 부하를 전환시킨 후 0.1초(100ms) 이내에 다른 전원을 개방하여야 한다.

3. ATS와 CTTS 비교

4. 비고
'전기 > 시설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압 승압시 전압강하, 전압변동률, 전력손실, 전선굵기, 전류 효과 및 단점 4가지 (0) | 2024.06.23 |
---|---|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및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0) | 2024.06.18 |
전기 직무고시_분기점검 (1) | 2024.06.09 |
전기 직무고시_반기점검 (0) | 2024.06.09 |
전기 직무고시_연차점검 (1) |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