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40

[전기기사 실기 계산 05] 발전기 용량, 발전기 효율 계산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계산 문제 중발전기 용량발전기 효율연료 소비량2008~2022년의 15개년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출제된 횟수를 특수문자 ★로 표현하되, 최대 3번까지 적용합니다. 목차1. 기본수식1.1 발전기 용량 1.2 화력 발전기 출력 1.3 수력 발전기 출력 1.4 풍력 에너지 1.5 발전기 효율※ "엔진출력을 구하시오" 라고 문제가 출제된다면, "발전기 입력"을 구하는 것이다. 1.6 단위마력단위는 HP와 PS를 사용하지만, 국내에서는 kW를 사용하므로, 단위변환 시 다음과 같다.1 [HP] = 746.6 [W]1 [PS] = 735.5 [W] 2. 계산 유형2.1 발전기 용량★★☆부하가 유도 전동기이고, 기동 용량이 500 [kVA]이다. 기동 시 전압 강하는 20 [%]이며,..

[전기기사 실기 계산 04] 전동기 용량, 전열기 효율 계산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계산 문제 중전동기 용량전열기 효율2008~2022년의 15개년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출제된 횟수를 특수문자 ★로 표현하되, 최대 3번까지 적용합니다. 목차 1. 기본 수식1.1  양수 펌프용 전동기 용량두 식의 차이점은 초당 양수량과 분당 양수량의 단위 차이이다. 1.2 에스컬레이터용 전동기 용량 1.3 권상기용 전동기 용량 1.4 전열기 효율 열량은 다음과 같이 열량[kcal] = 비열[kcal/kg•℃] x m [kg] x ΔT [℃]로, 로, 소방설비기사(기계)에서도 출제가 되기도 한다. 2. 계산 유형2.1 양수 펌프용 전동기 용량★☆☆지표면상 15 [m] 높이에 수조가 있다. 이 수조에 초당 0.2 [m3]의 물을 양수하는 데 사용되는 펌프용 전동기에 3상 전..

[전기기사 실기 계산 03] 변압기 용량, 변압기 효율 계산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계산 문제 중변압기 용량변압기 효율2008~2022년의 15개년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출제된 횟수를 특수문자 ★로 표현하되, 최대 3번까지 적용합니다. 목차 1. 변압기 기본 공식 1.1 삼각함수 1.2 네트워크 변압기 용량 1.2 변압기 용량 1.3 변압기 1대 용량 1.4 변압기 권수비 1.5 변압기 부하분담비 1.6 변압기 효율 1.7 V결선 변압기 효율 1.8 변압기 최대효율  2. 변압기 계산2.1 변압기 용량 계산★★☆최대 수요전력이 5000 [kW], 부하 역률 90 [%], 네트워크 수전 회선수 4회선, 네트워크 변압기의 과부하율이 130 [%]인 경우 네트워크 변압기 용량은 몇 [kVA] 이상이어야 하는가?참고 : ★☆☆500 [kVA] 단상 변압기 3대..

[전기기사 실기 계산 02] 조명설비 계산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계산 문제 중 조명 관련된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문제는 2008~2022년의 15개년 문제이며, 출제된 횟수를 특수문자 ★ 로 표현하되, 최대 3번까지 적용합니다. 목차 1. 조명설비 기본 수식1.1 광속 발산도광속 계산 시 아래와 같이 구, 원통, 평판에 따라 수식이 달라질 수 있다.구의 면적  1.2 실지수  1.3 FUN=EAD  1.4 조도   2. 조명설비 계산2.1 광속 발산도 계산★☆☆문제 1) 반사율 ρ, 투과율 τ, 반지름 r인 완전 화간성 구형 글로브 중심의 광도 I의 점 광원을 켰을 때 광속 발산도 R은? ★☆☆문제 2) 지름 30 [cm]인 완전 확산형 반구형 전구를 사용하여 평균 휘도가 0.3 [cd/cm2]인 천장등을 가설하려고 한다. 기구 효율..

[전기기사 실기 계산 01] 보정률, 오차율, 참값, 측정값 계산하기

전기기사 실기에서 출제되는 계산 문제 중보정률, 오차율(참값, 측정값)2008~2022년의 15개년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출제된 횟수를 특수문자 ★로 표현하되, 최대 3번까지 적용합니다. 목차 1. 보정률, 오차율(참값, 측정값)1.1 기본수식1.2 문제풀이★☆☆문제 1) 보정률이 -0.8[ %]일 경우 측정값이 103[V]이면 참값은 얼마가 되는지 구하시오. ★★☆문제 2) 전압 1.10183[V]를 측정하는데 측정값이 1.0092[V]이었다.이 경우의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단,소수점 이하 넷째자리까지 구하시오.)    (1) 오차    (2) 오차율    (3) 보정    (4) 보정률★★☆문제 3) 100[V], 20[A]용 단상 적산 전력계에 어느 부하를 가할 때 원판의 회전수 20회..

UPS Battery 용량 계산 (무보수 밀폐형)

UPS Battery 용량 계산은 UPS 용량, 축전지 셀 수량, 축전지 용량, K-Factor 등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목차1. 일반UPS(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 계산은 시스템의 전력 요구량, 예상 사용 시간, 백업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수행된다. 아래는 간단한 UPS 배터리 계산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다. 1.1 부하 계산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전기 장치의 소비 전력을 합산한다. 이는 외부 렉서리에 기입된 전력 요구 사항을 확인하거나, 각 장치의 전력 소비를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1.2 백업 시간 설정시스템이 정전 상태에 대비하여 얼마 동안 백업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이 시간은 시스템을 안전하게 종료하거나 대체 전원이 복구될 때 까지의 예상 시간을 의미한다. 1. 3 UPS 효율성 고려UP..

전기/시설관리 2024.06.29

UPS 산업용 Battery 종류 6가지

UPS 산업용 Battery 종류는 무보수 밀폐형, 개방형 습식, 리튬 이온, 니켈카드뮴, 니켈금속하이드라이드, 플라이휠 등이 있다. 목차1. UPS Battery 사용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는 주로 전원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정전이 발생할 때 장비에 지속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환경에서 UPS 배터리가 사용되는 몇 가지 상황은 다음과 같다. 1.1 정전 대비가장 일반적인 용도 중 하나는 정전 대비이다.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정전이 발생하면 UPS가 배터리 모드로 전환하여 연결된 장비에 지속적인 전력을 제공한다. 1.2 전압 변동 보호전압이나 전력의 급격한 변동이 발생할 경우, UPS는 안정된 전력을 유지하고 연결된 장비를 이러한 변동으로부터 보호한다. 1.3 서버 및 네트워크..

전기/시설관리 2024.06.29

전압 승압시 전압강하, 전압변동률, 전력손실, 전선굵기, 전류 효과 및 단점 4가지

전압 승압시 공급전력, 전압강하, 전압강하율, 전압강하율, 전압변동률, 전력손실, 전선굵기, 전류의 효과를 알아보자. 목차1. 전압승압시 장점 1.1 공급능력공급능력은 무부하상태의 시설용량을 말하는 것으로※ 전압이 n배 증가하면, 공급능력은 n배 증가한다. 1.1 공급전력공급전력은 부하가 있는 상태에서의 전력이므로※ 전압이 n배 증가하면, 공급전력은 n^2배 증가한다. 1.2 전압강하 ※ 전압이 증가하면 분모가 증가하므로, 전압강하는 1/n배 감소하게 된다. 1.3 전압강하율※ 전압이 증가하면 분모가 증가하므로, 전압강하율는 1/n^2배 감소하게 된다. 1.4 전압변동률※ V2n 승압시 분모는 증가, 분자는 감소하므로 전압변동률은 감소하게 된다. 1.5 전력손실※ 전압이 증가하면 분모가 증가하므로, 전력..

전기/시설관리 2024.06.23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및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과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의 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1. 변압기 병렬운전 정의전원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2대 이상의 변압기를 병렬로 결선하여 운전하는 방식 2.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① 1,2차 정격전압 및 극성이 같을 것②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가 같을 것③ 권수비가 같을 것④ 각 변압기의 내부저항과 누설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⑤ 각 변압기의 정격용량의 비가 1:3 이내일 것 (제조사 권고)⑥ 3상의 경우 상회전, 위상 변위가 같을 것 3. 변압기 병렬운전 적합하지 않은 경우① 부하의 합계가 변압기 정격용량보다 큰 경우② 변압기 병렬운전 중 어느 변압기 무부하 순환전류가 10% 초과하는 경우③ 순환전류의 부하전류 값이 정격부하 110% 넘는 경우 4. 변압기 병렬운전 가능 및 불가..

전기/시설관리 2024.06.18

ATS와 CTTS 비교

ATS와 CTTS 비교에 대해 알아보자.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사이에 설치하여, 정전시 예비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 스위치 중으로 ATS와 CCTS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1. ATS (Automatic Transfer Switch) 명칭 : 자동 전환 개폐기절차 :         - 한전 라인과 비상발전기 라인 사이에 연결하며,        - 상용 전원 정전시 비상발전기가 자동적으로 동작하고 절체 지연 시간 동안 대기 후 비상 전원으로 자동 절체        - 비상발전기로 절체 후 비상발전 전원을 부하로 공급        - 상용 전원 정상 복구시 절체 지연 시간 동안 대기 후 상용전원으로 자동 절체, 그리고 비상발전기는 정지        - 수동으로 절체 가능 (상용전원 → 비상전원, ..

전기/시설관리 2024.06.11